글 목록 248

16세기 후반 프랑스 개혁파의 비극 : 성 바돌로매 학살 사건

성 바돌로매 학살 사건 1572년 8월 24일 로마 가톨릭 교도인 프랑스 왕의 여동생과 개혁교회 지도자인 헨리 왕자의 결혼식이 예정되었다. 구교와 신교 양진영의 사람들은 모두 이전의 반목과 투쟁을 종식하고 이제 평화를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톨릭 진영에서는 이미 위그노들에 대한 대학살이 계획되어 있었다. 결혼식에는 양진영의 지도자들이 대부분 참여했었는데 생 제르멩 교회의 종소리를 신호로 위그노들에 대한 살육이 시작되었다. 이후 1주일 동안 대략 7만명 정도가 죽임을 당했다. 특히 위그노들의 지도자들 대부분이 이때 살해되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개혁신앙을 가진 성도들은 극심한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런 피의 역사들은 오늘날 프랑스에서 특히 더 개혁교회의 흔적들을 찾기가 어려운 그런 배경들인..

침체된 신앙인을 위하여

자신의 지나간 신앙의 발자취를 돌아보면서 짧지 않은 세월이 흘렀다면 그 만큼 자신 안에 처음 심겨졌던 믿음이 얼마나 잘 자라고 있을까? 또 자기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세미하신 손길을 얼마나 느끼며 살아가는가? 이런 종류의 관심사가 있는가? 물을 필요가 있습니다. 매미 같은 곤충을 보면 7 년을 땅 속에서 유충의 형태로 자라다가 나무로 올라와서 성충이 되는데, 여름이면 소리를 내며 살아있는 시간이 불과 열흘이라는 아주 짧은 생을 살다가 마칩니다. 이 곤충이 인격적 존재라면 스스로 얼마나 허무감을 느끼겠습니까? 7년을 어두운 땅 밑에서 고생 고생하다가 세상 밖으로 나온 후 불과 10일만에 생을 마감한다면... 그런데 우리들 신앙의 길도 이런 자연의 교훈들에 빗대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내 신앙이 참..

사무엘 밀러의 '장로주의'

프린스톤 신학교의 첫 개척 교수 중 한 사람인 사무엘 밀러(1769-1850)는 ‘장로교주의’란 저서에서... 1.장로교는 교회정치에 관련된 용어이지만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성경적 근거로부터 출발한 오래된 것이다. 주후 3세기 로마 클레멘트, 이그나티우스, 저스틴, 이레니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그리고 종교 개혁시대까지이다. 그리고 그 어간에 순수한 장로교적인 신학적 입장은 왈도파에 의해 보존되어 유클리프, 후스에게도 영향을 끼쳤고, 종교개혁을 통해서 그 신학적 입장들이 꽃을 피었다. 왈도파의 경우 그 형태가 후대 장로교회 정치 형태와 비슷하게 성직 계급 부정, 목사들의 권세와 힘의 동등권 주장, 당회나 노회 및 대회가 있었고 역시 장로들도 있었다. 그리고 오직 성경 사상과 예정론, 예배 의식에..

카테고리 없음 2010.12.13

복음을 위한 수고

"복음이 처음 전파되었을 때, 그때는 복음 전파가 희귀하고 드문 일이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을 받았다. 사람들은 복음을 듣고 대단히 기뻐하였고, 복음이 제공하는 훌륭한 위로에 많은 즐거움을 얻었다. 하지만 그 후에, 복음이 널리 퍼지고 알려졌을 때, 싫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만나에 대해서 그렇게 느꼈듯이... 사람들은 복음을 전하는 일을 위하여 결코 고생을 자처하려고 하지 않았다.... 우리가 자비를 베풀어 주신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해서 싫증을 부리는 것은 참으로 불가사의한 일이다...." E. Elton의 골로새서 주석 중에서.. 우리는 얻은 것으로 즐거워 하기 보다는 잃은 것으로 절망하기가 훨씬 더 쉽다. 우리에게 정말 소중한 것은 가까이에 있고 값없이 주어지지만 알아차리..

미국 OPC의 장로+회중연합에 대한 회고

미국 정통장로교회(OPC)가 보여준 장로교회 회중교회 연합에 대한 입장 Why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Joh P. Galbraith "1801년 코네티컷 장로교회 총회와 회중주의 총연합회는 대립보다는 함께 협력할 연합 계획을 채택하였다. 이 연합은 미국 장로교회의 쇠퇴의 분명한 시작을 명시한다. 왜냐하면 회중교회란 장로교회 신조들과 다른(differed) 사상인 “홉킨스주의(Hopkinsianism)” 혹은 신학파(New School Theology)"와 같은 다양한 사상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차이는 주로 두 가지 관점인데, (1) 그 사상은 아담이 인류의 연대적 대표라는 개혁교리의 가르침, 즉 그의 죄책이 온 세상 사람에게 전가되었다는 내용에 반대하였다. (..

개혁주의 전통 2010.12.07

조선 예수교 신경론(곽안련선교사)

죠션예수교 쟝로회 신경론곽안련 선교사 각국에 있는 각 교파에 다 신경이 있는데 서양에 섰던 자유교회는 선언하기를 자기에게는 신경이 없다하나 이는 헛말에 지나지 못하니 성문한 신경은 없어도 그 교파교우들이 합심하여 같이 믿는 도리 몇 가지는 다 있으니, 만약 이것이 없으면 같이 회집하여 교회를 설립하지 못하였다. 그런즉 신경이 없는 것이 아니고 성문된 신경이 없다 할 것이다. 성문한 신경이 없은 즉 교도(敎導)하는 중에 산란무정(散亂無定)하여 무미(無味)한 것이 많다. 혹 자는 큰소리로 스스로 자랑하기를 신구약이 나의 신경이오 이외에는 나에게 신경이 될 것이 없다하니 이것도 무식한 자랑이다 누구든지 이같이 스스로 자랑하면 이는 교회의 신경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어느 곳에서 산출되는 것인지 알지 못함을 표시하..

육적인 것과 영적인 것

... If we finde that we can rejoyce and give thankes to God for ourward good things, and not for spirituall graces, it is a strong proofe that our hearts are not yet seasoned with grace.... (E. Elton, Col 1:3 commentary) 우리 삶에서 육적인 것과 영적인 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영적인 것을 종교적 어떤 행위들에 직접 연결시키고 육적인 일은 그 밖의 일들이라고 판단한다면 과연 옳은 것일까?

어떻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것인가?

무엇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것인가? 1. We glorify God by confessing and taking shame to ourselves for all the sins we have committed 2. By loving and delighting in him above all things, which is to act as those who own the transcendent amiableness of his perfections, as the object of their highest esteem. 3. By believing and trusting in him, committing all our concerns, both in life and death, for time and et..

정통개혁장로교 신학의 회복의 길에 서서

장로교회가 한국 땅에 심어진지도 오래다. 그러나 그 뿌리가 되는 역사적 개혁장로교회에 대한 이해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탐구는 저마다 노선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무엇보다도 개혁장로교회 고백서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야할 필요성이 절대적이다. 그 가운데에서 장로교표준문서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자체의 내용에 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거기 참여했던 각 지역의 총대들의 신학에 대한 이해는 거의 전무하다 하겠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대륙개혁자들과 스코틀랜드를 포함한 영국 장로교 성직자들에 의해 승리로 이끈 개혁 장로교회 고백서라 하겠다. 총대들 중에는 독립파 회중교회 성직자들은 후에 고백서를 수정한 다른 고백서를 냈다. 그러나 다른 분파들(침례교도, 퀘이커교도 등)과 더불어 이들 모두..

개혁주의 전통 2010.11.30

성경의 무오성을 파괴하는 정신[스크렙]

성경에는 어떤 오류(기억의 결함, 무지, 대중적인 편견등)가 혼합되었다는 생각은 계몽주의 시대로부터 발생하였다. 그러나 I.Gaussen은 일찌기 이런 파괴정신은 유대주의와 라틴교부들에게 많은 원인이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즉 유대주의에 의해 모세나 선지자들의 무오성을 유대 랍비들에게도 적용함으로 그리고 카톨릭에 의해서 그 무오성을 교황에게 적용함으로, 성경의 저자들에 대한 무오성이 자연주의적인 무오성으로 전락되었기 때문이었다. 바빙크는 성경의 충분성이 파괴된 것은 처음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전승의 교리가 등장하면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이런 카톨릭적인 구전에 대한 교리가 성경의 불충분성에 대한 의식을 조장하였고 그것을 파괴하고 정당한 자리를 가지게 되었다는 의미다. 또 하나 성경의 충분성..

성경 201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