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251

어떻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것인가?

무엇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것인가? 1. We glorify God by confessing and taking shame to ourselves for all the sins we have committed 2. By loving and delighting in him above all things, which is to act as those who own the transcendent amiableness of his perfections, as the object of their highest esteem. 3. By believing and trusting in him, committing all our concerns, both in life and death, for time and et..

정통개혁장로교 신학의 회복의 길에 서서

장로교회가 한국 땅에 심어진지도 오래다. 그러나 그 뿌리가 되는 역사적 개혁장로교회에 대한 이해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탐구는 저마다 노선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무엇보다도 개혁장로교회 고백서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야할 필요성이 절대적이다. 그 가운데에서 장로교표준문서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자체의 내용에 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거기 참여했던 각 지역의 총대들의 신학에 대한 이해는 거의 전무하다 하겠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대륙개혁자들과 스코틀랜드를 포함한 영국 장로교 성직자들에 의해 승리로 이끈 개혁 장로교회 고백서라 하겠다. 총대들 중에는 독립파 회중교회 성직자들은 후에 고백서를 수정한 다른 고백서를 냈다. 그러나 다른 분파들(침례교도, 퀘이커교도 등)과 더불어 이들 모두..

개혁주의 전통 2010.11.30

성경의 무오성을 파괴하는 정신[스크렙]

성경에는 어떤 오류(기억의 결함, 무지, 대중적인 편견등)가 혼합되었다는 생각은 계몽주의 시대로부터 발생하였다. 그러나 I.Gaussen은 일찌기 이런 파괴정신은 유대주의와 라틴교부들에게 많은 원인이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즉 유대주의에 의해 모세나 선지자들의 무오성을 유대 랍비들에게도 적용함으로 그리고 카톨릭에 의해서 그 무오성을 교황에게 적용함으로, 성경의 저자들에 대한 무오성이 자연주의적인 무오성으로 전락되었기 때문이었다. 바빙크는 성경의 충분성이 파괴된 것은 처음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전승의 교리가 등장하면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이런 카톨릭적인 구전에 대한 교리가 성경의 불충분성에 대한 의식을 조장하였고 그것을 파괴하고 정당한 자리를 가지게 되었다는 의미다. 또 하나 성경의 충분성..

성경 2010.11.30

개혁주의와 루터주의의 차이

개혁주의와 루터주의 사이의 차이(H. Bavinck, Gereformeerd Dogmatiek I.) 개혁주의 루터주의 신론적으로 생각한다. 인간론적으로 생각한다. 역사 안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념, 곧 영원한 하나님의 성정에까지 올라간다. 구원사 중심, 더 깊이 올라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 선택이 교회의 핵심 칭의가 교회의 항존적인 출발 어떻게 하나님이 자신의 영광에 이르시느냐? 어떻게 인간이 축복에 이르느냐? 이교도주의와 우상에 반대하는 싸움 유대주의와 행위거룩에 반대하는 싸움 모든 것을 하나님의 결정에 되돌리고 물의 원인을 추적하며 미래의 모든 것을 하나님의 영광에 유익되게 하기 전에 쉬지 않는다. 현상에 만족하고 신앙을 통하여 부여받은 축복에 안락한다.

개혁주의 전통 2010.11.29

[스크렙] 역사의 교훈과 개혁신앙

역사의 교훈과 개혁신앙 김영규 목사 ·남포교회 협동목사 ·뉴욕과학아카데미(NYAS) ·미국과학 진흥협회(AAAS) ·미국화학학회(ACS) 초청회원 한반도의 미래가 세계의 미래처럼 그렇게 밝지는 않는 것 같다. 천안함 사건으로 인하여, 북한에서도 자유를 위해 싸우는 자들에게, 그들에게 지지자들이 있고 그들을 돕는 수단들도 준비되어 있다는 확실한 메시지를 주어야 하는데, 그 시기를 이미 놓쳐버린 것 같다. 물론 거기에 아직 국력이 미치지 못하고 실제적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들이 잘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도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한반도 역사에 있어서 아무리 잔인한 폭군이 있었다 해도 그렇게 오랫동안 한반도의 구성원들 다수의 인권이 그렇게 김일성 한 가족에게 유린당했던 역..

기타 2010.11.21

오늘을 사는 지혜

16세기 중반 하이델베르그가 제네바와 함께 개혁의 중심도시가 되었던 배경에는 프레데릭 3세의 지배 하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하이델베르그 대학은 1386년에 설립되었으나 1559년 44세의 나이로 프레데릭 3세가 즉위한 후 루터주의와 칼빈주의 사이에 논쟁이 일어났는데 프레데릭 3세가 칼빈주의에 손을 들어주었다. 그후로 하이델베르그 대학에는 인근의 개혁자들이 속속 몰려들기 시작했다. 1561년 자카리아스 우루시누스가 교수로 부임했고, 같은 해 카스퍼 올레비아누스도 부임했다. 이 두 사람에 의해서 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이 작성되었다. 우루시누스의 경우는 비텐베르그에서 공부하였고 거기서 칼빈, 부쩌, 블링거, 그리고 미터 마터 베르미글리우스와 교제 하였다. 올레비아누스의 경우도 피터 마터에게서 배웠고, 로잔에서는..

개혁주의 전통 201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