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주의 2

사무엘 밀러의 '장로주의'

프린스톤 신학교의 첫 개척 교수 중 한 사람인 사무엘 밀러(1769-1850)는 ‘장로교주의’란 저서에서... 1.장로교는 교회정치에 관련된 용어이지만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성경적 근거로부터 출발한 오래된 것이다. 주후 3세기 로마 클레멘트, 이그나티우스, 저스틴, 이레니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그리고 종교 개혁시대까지이다. 그리고 그 어간에 순수한 장로교적인 신학적 입장은 왈도파에 의해 보존되어 유클리프, 후스에게도 영향을 끼쳤고, 종교개혁을 통해서 그 신학적 입장들이 꽃을 피었다. 왈도파의 경우 그 형태가 후대 장로교회 정치 형태와 비슷하게 성직 계급 부정, 목사들의 권세와 힘의 동등권 주장, 당회나 노회 및 대회가 있었고 역시 장로들도 있었다. 그리고 오직 성경 사상과 예정론, 예배 의식에..

카테고리 없음 2010.12.13

장로주의와 회중주의

둘 사이의 차이는 웨스트민스터 총회 직전에 회중교회에 대한 장외 논쟁에서 고조되었다.미국에서는 장로주의자로 알려진 John Cotton은 사실상 회중주의 퓨리탄이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영향을 끼치기 위하여 총회 직전 1644년에 "천국의 열쇠권"(The Keyes of the Kingdom of Heaven)이란 책을 출간했다. 웨스트민스터 성직자였던 다니엘 코드레이(Daniel Cawdrey)가 "The Inconsistencie of the Independent Way"에서 코튼과 마찬가지로 회중주의자인 토마스 후커(Thomas Hooker)의 입장을 비판하였다."천국의 열쇠권"에 관한 논쟁의 중심점은"교회의 열쇠"가 누구에 있는가에 대한 문제로서1. 교회의 열쇠가 믿는 자들을 대표하는 베드..

개혁주의 전통 20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