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전통 17

개혁신학의 전망

개혁신학의 전망 김성수 교수(합신교수) 개혁이란 비록 혁명이란 말처럼 기존질서의 파괴적, 극단적, 폭력적 부정 내지 전복의 의미를 갖지는 않을지라도 기존질서나 상태에서 탈피하여 새 질서를 확립하는 무언가 신기원을 마련하는, 이제껏 없었던 굉장한 그 무엇을 성취한다는, 다시 말하면 일종의 완화된 형태의 혁명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혁을 주도하는 개혁자라고 하면 대개 혁명가적이며 투사적인 모습을 연상하게된다. 물론 교회내의 개혁에서도 새로운 출발의 의미나 이를 위한 확고한 결단의 의미를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지라도 흔히 일반사회에서 이해되는 대로의 개혁이나 개혁자의 모습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특히 이제껏 아무도 하지 못했던 것을 성취하려고 하는 생각이나 이를 위한 투쟁일변도의 영웅주의적인 자세는 교회내의 개..

개혁주의 전통 2010.09.10

인간의 최고선(1)

제 1 장 인간의 최고선(Man's Highest Good) 오직 하나님만이 인간의 최고선이시다. 물론 모든 피조물들의 최고선이기도 하시다. 여기서 최고선(Highest Good)이란 말은 하나님께서 만물의 창조주시요, 유지하시는 분(sustainer)이시며, 모든 존재와 생명의 근원이시라는 뜻이다. 즉, 하나님께서 인간은 물론이고 모든 피조물들을 존재하며 살게하시는 분으로서 그 분이 없다면 세상은 무(nothing)에 불과하기 때문에 오직 그 분만이 최고선이시다. 무생물과 식물과 같은 피조물들은 생명의 원리는 있으나 지각이 없다. 동물들은 그 보다 훨씬 나으나 그들이 깨닫고 아는 것은 땅의 일들이지 하늘의 일은 불가능하다. 그 러나 인간은 전혀 다르다. 처음부터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을 따라 창조되어 거..

개혁주의 전통 2010.08.31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고시

웨스트민스터 회의 스코틀랜드 총대로 참석했던 알렉산더 핸더슨(Alexander Henderson)의 "스코틀랜드 교회 정치와 질서"라는 책에서 목사들에게 주어진 시험의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이와같이 개별 당회에서 잘 알려지고 추천되었고, 더 큰 장로회에 지명된 자는 거기서 다음과 같이 시험을 치룬다. 언어의 능숙함(라틴어, 헬라어, 히브리어), 성경해석, 신앙논쟁, 가르치는 은사, 교회역사와 연대기 등. 첫째로 그의 삶과 생활태도에 관해서, 만일 그가 부도덕하거나 부끄러운 점이 발견된다면 다른 어떤 시험도 치를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목사는 그 책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합한 점이 발견되고 시험받으며, 공석인 목회지에 파송되었다. 회중들은 그에게 들음으로 교훈을 위한 그의 은사에 대한 더 큰..

개혁주의 전통 2010.08.18

예배와 전도에 있어서 율동 및 드라마 사용 문제

예배와 전도에 있어서 율동 및 드라마 사용 문제에 관하여(Dance and Drama in Worship and Evangelism-A Contemporary Problem)Rev. John Marshall/서창원역(진리의 깃발, 1995.6. 제13호) 1. 들어가는 말생각이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오늘날 교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적인 문제들에 관하여 깊은 생각을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 많은 것을 인하여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들이지만 한편으로 고통과 아픔을 유발하는 요소들도 있음을 부인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그리고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에 하나님이 임재하시고 계신 모든 증거를 인하여 하나님께 진정으로 감사를 드린다.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일 때마다 ..

개혁주의 전통 2010.08.11

히브리서 11장 25절... 고난에 대해서

Chusing rather to suffer affliction with the people of God, then to enjoy the pleasures of sin for a season.(Heb. 11.25)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 때때로 하나님께서는 지위 높은 자들의 섬김보다도 오히려 고난을 통해서 영광을 더 받으신다...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께 [대단한] 사랑을 받지만, 그럼에도 자주 고난의 처지에 놓이게 된다.... 1. 세상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흔히 [사는] 모습은 고난 당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2. 하나님의 길에서 그의 백성들이 지독한 환란 중에 있을 때, 악인들은 죄의 길에서 즐거움을 만끽한다. 3. 고난..

개혁주의 전통 2009.11.21